이순범 (Mubnoos Lee)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숭실대학교
Master of Social Work, Ohio State University
Weblow, Life Style Brand, Project Manager
㈜청진 - Packaging Manufacturer, 총괄팀장
머리말 이 책의 내용은 화장품, 제약 및 생활용품에 관련한 종사들과 그와 관련한 패키징 디자이너, 구매직원 그리고 제품개발자들에게 국내에는 정보가 부재한 블로우 성형 (Blowing Bottles)과 그와 관련한 제품 개발에 필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다.
우리 주변에 블로우 성형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들이 없이 일상이 지속되기 어려울 정도로 일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블로우 성형 분야에 대한 정보가 찾기 어렵고, 개발자나 디자이너 측면의 내용보다는 엔지니어 측면의 내용들만 국내에서 소수만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블로우 성형 분야에서 근무하며 궁금하거나 알고 싶은 내용을 해외서적이나 검색을 통해 조각들의 내용들을 접하면서, 국내에도 블로우 성형과 제품개발에 관련한 책 한권 정도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중소기업에서 하나의 파트가 아닌 전체적인 접근과 응용의 업무를 허락해주신 ㈜청진의 대표님을 비롯한 동료분들과 블로우성형에 대해서 알게 되고, 정리하기까지 이론과 체계 실질적인 경험들을 경험 축적하게 도움을 주신 고객사, 협력 동종업계 선배님들과 동료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언급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 가상현실,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바이오기술, 나노기술 등의 제4혁명의 파도와 급변화하는 시대에 제조업으로서의 정체성과 비전에 대해서 고찰하고 고민하면서 플라스틱을 불어서 성형하는 것을 뛰어넘어 거대한 잠재력을 불어 넣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표지
저자
머리말
목차
1. 플라스틱 성형의 종류와 특성
1.1. 사출 성형 (Injection Molding)
1.2.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Extrusion Blow Molding)
1.3. 사출 블로우 성형 (Injection Blow Molding)
1.4. 재가열 연신 블로우 성형 (Re-heat Stretch Blow Molding)
1.5.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2. 금형 (Mold)
2.1. 사출 성형 (Injection Molding)의 금형
2.2.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Extrusion Blow Molding)의 금형
2.3. 사출 블로우 성형 (Injection Blow Molding)의 금형
2.4. 재가열 연신 블로우 성형 (Re-heat Stretch Blow Molding)의 금형
2.5.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의 금형
2.6. 범용금형과 커스텀금형
2.7. 다이렉트 블로우 금형(EBM)과 사출 연신 블로우 금형(ISBM)
3. 원료 (Resin)
3.1. 플라스틱 원료의 이해
3.1.1
3.2. 7가지 주요원료 및 플라스틱표기 방법
3.3. PET와 PETG
3.4. 친환경 플라스틱
3.5. 블로우 제품 재료의 물성비교
4. 컬러링 (Coloring)
4.1. 순안료의 이해
4.2. 안료 (Dry Color)
4.3. 마스터배치 (Master-Batch)
4.4. 퍼징 (Purging)
4.5. UV 차단제
4.6. 용출
5. 후가공 (Post-processing)
5.1. 인쇄/분/박 (실크스크린)
5.2. 라벨링
5.3. 표면처리
5.4. 기타
5.5. 용어 및 절차
6. 네크 (Neck Size)
6.1. 네크의 표준사이즈
6.2. 문제발생
7. 펌프 (Pump/Dispenser)
7.1. 펌프의 구성
7.2. 펌프의 종류 및 토출량
8. 캡 (Cap/Closure)
8.1. 캡의 종류
8.2. 알루미늄
9. 부자재
9.1. 팩킹
9.2. 가스켓
9.3. 씰링
10. 제품개발
10.1. 재질 (Resin)
10.2. 모양 (Shape)
10.3. 비중
10.4. 헤비블로우 (Heavy Blow)
10.5. 만주 (Over-full)
10.6. 목업(Mock-up)와 3D프린팅
10.7. 용량
10.8. 상용성테스트
11. 단가와 리드타임
12. 부록 종목별 업체목록
13. Reference
화장품은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화장품은 청결과 미용, 피부 보호, 심리적 만족감 등을 목적으로 인체에 직업 사용됨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와 화장 습관, 유행에 매우 민감한 패션 상품이다. 특히 제품의 라이프사이클(life-cycle)이 짧아 신상품의 출시 성공 여부가 매출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특히 인체에 직접 사용함으로 화장품 산업은 화학, 생화학, 약학, 생리학 등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이 바탕이 되는 전형적인 정밀화학 산업이며 기술 집약적 산업이다.
화장품의 워낙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이들 제품의 생산 역시 소량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규모 자본 투자형 산업이며, 소규모의 전문화 기업이 쉽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산업이다. 물론, 품질 안정, 신제품 개발 능력, 유통망 확보 능력, 브랜드 이미지 확보 등 시장 진입 후 안정적 시장 지위 확보를 위한 여러 선결과제들이 있으나,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에서는 중소기업의 전문화를 통한 시장 진입을 수월하게 하는 요인임에 틀림없다.
화장품의 유통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크게 시판과 방판으로 구분되며 시판에는 백화점, 할인점, 슈퍼마켓, 전문점, 인터넷, 홈쇼핑 등이 있으며, 방판에는 신방판(직판), 구방판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화장품의 유통 비용은 화장품 제조 원가에 버금가고 있어 유통 부분이 실질적 진입 장벽이 되고 있다. 이미지 상품으로 특히 브랜드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각 사별 브랜드 별로 유통 채널이 차별화 되고 있다.
1. 화장품의 용기 및 포장
화장품의 용기와 포장의 기본적 기능은 일반적으로 다음 3가지로 열거할 수 있다. 첫째는 내용물의 보호 기능이며 이는 수송, 온도, 습도, 미생물, 빛 등의 보관 환경에서 내용물의 품질을 보호한다. 둘째는 취급의 편리성으로 제품을 취급, 물건 취급에 편리한 중량, 치수, 형상, 표시 및 용기 개폐의 편리성 등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판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즉, 용기, 포장은 상품의 일부이고, 그것도 그 자체의 얼굴이다. 용기 패키징의 디자인은 영업이기도 하며, 기업이미지를 상징하기도 한다.
1.1 화장품 용기의 필요조건
1.1.1 품질유지에 적합한 재료와 기구
화장품 용기에 사용되는 재료는 플라스틱을 시작으로 유리, 금속, 종이 등이 있다. 이들 포장을 합리적으로 조합시켜 사용 편리성을 가지며 빛 등의 외부환경에서 내용물의 품질을 보호하고 용기 그 자체의 품질유지를 할 필요가 있다.
1.1.2 사용편리성
화장품 용기가 어느 정도 미적인 외관을 갖고 있어도 사용하기 어려운 용기는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콤팩트가 여성이 휴대하기 편하고 사용하기 쉽게 그리고 외관이 아름답게 하기 위한 콤팩트의 크기나 기구를 예를 들 수 있다. 디자인과 기능이 일치되는 것이 좋다.
1.1.3 디자인
생활에 청결과 미를 직결하는 상품으로서, 시각적인 점두(店頭)효과, 패션이 있는 디자인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해 보고서도 만족이 있는 매력 있는 디자인을 구할 수가 있다.
1.1.4 경제성
디자인을 중시하여 많은 형상을 변형시켜서, 생산 라인에 포장하기 어려운 용기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형태상으로도 양적으로도 합리적인 생산성에 가미하여 코스트가 낮은 화장품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1.1.5 안전성
용기, 포장재로 위생상의 안전성, 사용 환경과 사용 방법에 의한 형태, 구조상의 안전성을 생각해야만 한다.
1) 소재 안전성
화장품 용기는 기본적으로 식품 위생법에 준한 재료를 사용한다. 특히 내용물이 접하는 부분은 용기 재료의 첨가제와 착색제의 용출이 되지 않도록 충분히 보증 실험 후 사용해야 안전성이 높다.
2) 사용상 안전성
용기 설계 시 해당 제품이 어떠한 장소,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목욕탕 사용 제품은 유리병이 아니고 플라스틱 용기로 설계해야 하고 목욕 후 사용 용기는 캡 부분이 날카롭지 않게 해야 한다.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계 법규인 고압가스 취급법, 소방법 등도 고려해야 한다.
3) 상부 공간량
3-1) 입구가 작은 용기: 내용물이 주위 온도에 따라 팽창하여 내부 압력이 상승한다. 유리의 경우 용기 파손이 발생되며 플라스틱의 경우 용기 변형이 되므로 용량 산정 시 표시 용량(허가 용량) 상부 공간량을 설정 해야 한다. 상부 공간은 내용물 각각의 체적 팽창율을 감안하여 설정해야 한다.
3-2) 입구가 큰 용기: 내용물 팽창에 의한 흘러넘침(Overflow) 및 플라스틱 캡 변형에 의한 캡핑(Capping) 불편을 방지해야 한다.
3-3) 기타: 용기 설계 시 투명 용기인 경우는 상부 공간이 있으면 소비자들한테 용량이 적다고 오해를 받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해야 하고 특히 에탄올 함량이 높은 남성스킨, 샤워 코롱, 등은 온도가 올라가면 내용물 부피 팽창이 일어나 이를 감안해야 한다.
4) 용기의 사용 기능
4-1) 캡빠짐 (헐거워짐): 캡이 헐거우면 입구가 작은 초자 용기에서 용기 나사선에 내용물이 묻어 새는 경우가 있다. 이는 나사선의 외경, 피치(Pitch), 캡의 재질에 따라 다르다. 나사선 일부에 요철(오목함과 볼록함)을 줌으로써 구조상 방지할 수 있다.
4-2) 충격 강도: 다양한 충격에 내구성을 지내야 한다. 즉 용기 휴대, 사용 시 떨어뜨림, 캡이 겉도는 것, 용기 내구성, 개폐마모 등을 포함한다.
5) 내용물 보호 기능
5-1) 알카리 용출: 유리는 내약품성에 있어 안정하나 ‘소다라임(sodalime) 소재’는 알카리 용출에 유의해야 한다. 알카리 용출 원인은 알카리 함유가 많은 것을 말하며 유리 원료 제조 시 용융온도, 성형성 때문에 알카리 13~14% 이상이 되어 알카리 용출이 일어나 내용물의 경시 변화(pH 안정성 등)를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5-2) 광 투과성: 내용물의 색상을 보기 위하여 투명 용기를 채택하나 내용물은 내광성이 약한 허가 색소를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투명 유리 용기는 파장이 400nm 이하의 자외선에 투과되므로 착색병을 사용하거나 내용물에 자외선 흡수제를 투입 퇴색을 방지해야 한다.
5-3) 내용물 투과성: 용기로부터 내용물과 기체 투과성은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발생(유리, 금속은 없음)한다.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는 내용물이 용기에 투과되고 특히 향수 제품, 헤어 리퀴드는 향의 일부가 침투 용기 변형 발생하여 PE용기는 사용 하지 않는다. 또한 처방 중에 산소를 흡수하거나 영향을 쉽게 받으면 PE를 사용하지 않는다.
5-4) 수분 투과성: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은 흡수성이 적고 수분 투과성은 PE, PP(poly-propylene)보다 높으므로 수분이 많이 함유된 제품은 주의를 요한다.
5-5) 변취: 유리, 금속은 문제가 없으나 플라스틱 용기는 여러 첨가제를 투입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수지 내 첨가제, 이형제, 냄새가 없도록 성형 조건과 이형제, 수지가 변형되지 않는 재료 선정이 필요하다.
6) 재료 적성
6-1) 내약품성: 유리병은 그다지 문제가 없으나 플라스틱 용기에는 종류에 따라 내용물에 의해 용해, 변형, 색소 약제가 흡착되는 수가 있다. PE는 직렬의 탄화수소에 약하고 용해, 변형되고 표면에 번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용성의 색소, 약제를 흡착하므로 의약외품에 특히 주의가 요망된다. PE의 내유성이 필요한 경우는 병의 내면을 내유성 코팅(주로 에폭시)을 실시한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는 탄화수소에는 안정하지만 에스터 오일이 함유된 처방은 사전에 용해성테스트가 필요하다.
폴리에스터는 강산과 강알칼리에 부적합하며, 아세테이트, 톨루엔, 페놀 등에는 백화, 용해가 발생한다. 폴리스틸렌은 에스터오일(저분자에스터 오일류 IPM), 알코올류(ethanol, isopropyl alcohol, PEG 400) 탄화수소류, 향료류 등에 용해 등이 생기기 쉬우므로 내용물에 많이 포함되는 경우는 사전에 폴리스타이렌 조각을 침전시켜 외관, 중량, 치수, 변화, 등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6-2) 내부식성: 금속 용기, 튜브 등은 오일에는 문제가 없으나, 내식성이 많은 원료 강전해질, EDTA류가 내용물에 포함되면 부식을 일으켜 구멍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에어로졸 용기는 구멍이 나는 부분에서 내용물이 분출되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내면을 에폭시 코팅하는 경우가 많다.
6-3) 변형: PE병에 내용물을 충전하면 점차 변형되는 수가 있다.
6-3-1) 용기의 팽윤(용해)에 의한 경우: PE병이 내용물 처방(오일, 지방산, 알코올, 에스터류)에 의해 팽윤되는 경우 병의 용적이 커지고 그 요철 면에서 변형이 발생한다.
6-3-2) 산소 흡수에 의한 경우: 내용물 처방에 산소 흡수가 용이한 원료가 포함되고 상부 공간의 산소와 반응하여 그 부분의 용기 내압이 저하하여 변형이 발생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면 가속되는 경우가 있다. 내용물이 세제, 올리브유, 불포화물인 경우 특히 주의를 요한다.
6-3-3) PE 튜브: 내유성이 적은 오일 처방, W/O 처방에는 튜브의 변형(튜브가 팽윤하여 체적이 늘고 그 부분으로부터 터짐), 튜브 외벽으로 내용물이 새어 나와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O/W 처방에 사용되는 오일량은 30~40%가 한계로 이를 위해 내면 코팅, 여러 겹 튜브를 사용한다.
6-4) 대전 방지성: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표면 저항이 높기 때문에 진열하면 오염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로 표면 저항치를 낮추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플라스틱 용기 성형 시에 대전방지제용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용기를 만든다. 또한 내용물을 충진 하기 전에 용기 하나 하나를 방전시키면서 진공으로 용기 내부를 빨아들여 세정하는 방법도 있다. 특히 플라스틱은 습도와 온도가 낮을 때 사람이 붐비는 곳에 진열하는 경우 용기의 정전기 현상이 잘 발생하여 진열된 제품 용기에 오염을 시킨다.
1.1.6. 폐기성
지구환경 보전에서 폐플라스틱 대책의 확립이 서둘러지고 있어, 이러한 관점에서, 분해성 플라스틱(광, 미생물)이 연구되고 있으며, 재생(Recycle)화도 진행되고 있다. 그 외 미국, 유럽에서도 정부, 자치 단체에서도 비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사용규제 및 과세 등의 대책이 취해지기 시작했다.
1.2. 용기 형태의 종류
1.2.1. 세구병: 병의 입구의 외경이 몸체에 비해 작은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병에 뚜껑을 씌워 용기가 된다. 주로 화장수, 헤어토닉, 향수, 네일 에나멜 등 액상 제품에 사용 되고 있다.
1.2.2. 광구병: 병의 입구의 외경이 몸체에 비해 같든가, 세구병에 비해 큰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병에 뚜껑을 씌워 용기가 되게 한다. 주로 크림이나 포마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1.2.3. 튜브(Tube): 용기의 몸체를 눌러 적량의 내용물을 내보내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주로 크림, 세안료 등의 페이스트(paste) 상의 내용물에 사용되고 있다.
1.3. 용기-포장 재료에 이용되는 소재
용기포장 재료는 유리,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의 재질이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되고 있다.
1.3.1. 유리(glass)
1.3.1.1. 유리의 특성
유리는 거의 병으로 이용되고 있다. 병의 제법은 소위 반 인공으로 만드는 방법과 자동 제병기에 의한 방법이 있다. 유리병에는 투명 병, 착색 병, 유백색 병이 있고, 이들에게 부식, 인쇄(유기, 무기), 도장, 연마 등의 가공이 실행되고 있는 것도 있다.
유리병의 주요 특징은 첫째 투명감이 좋고 광택이 있으며 착색도 할 수 있다. 둘째로는 유지, 유화제 등의 화장품 원료에 대해 내성에 크며 수분, 향료, 에탄올, 기체 등의 투과 되지 않으며 세정, 건조, 멸균의 조건에서 잘 견디고 깨끗하게 하기 쉽다. 그러나 유리병의 주요 결점은 깨지기 쉽고 충격에 약하며 중량이 크고 운반, 운송에 불리하다. 또한 알카리 용출에 의해 내용물이 영향이 있을 수 있다.
1.3.1.2 유리의 종류
1.3.1.2.1 소다석회 유리: 통상 사용되는 투명 유리병의 성분은 산화규소, 산화칼슘, 산화나트륨이 주이고 그 외에 소량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산화물이 함유되어 있다. 화장수, 로션, 크림 등의 용기에 주로 사용된다.
1.3.1.2.2. 납유리: 산화규소, 산화납, 산화칼륨이 주성분으로 산화납을 많이 사용할수록 투명도가 높으며 광의 굴절율이 높은 것을 크리스탈 유리라고 부르며 주로 고급 향수 용기에 이용된다.
1.3.1.2.2. 유백 유리: 투명한 유리 속에 무색의 미세한 결정(불화규산소다 등)이 분산된 것으로 광을 산란하기 때문에 유백색 보인다.
1.3.1.3 유리의 성형법
1.3.1.3.1. 중공(blow) 성형: 용융 유리를 형틀에 넣고 공기를 불어넣어 모양을 만든다. 입구가 가는 세구병은 대개 이 방법으로 만든다.
1.3.1.3.2. 압력/중곡(press and blow) 성형: 용융유리를 1차로 프레스하여 두께를 균일하게 하고 blow 형틀에 옮겨 공기를 불어넣어 성형하는 방법이다.
1.3.1.3.3. 압력(press) 성형: 용융 유리를 형틀에 넣고 프레스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 입구의 내경과 몸체의 내경이 같거나 복부의 내경이 적은 것에 주로 이용된다.
1.3.2. 플라스틱
1.3.2.1. 플라스틱의 특징
1.3.1.1.1. 열가소성 수지 (PET, PP, PS, PE. ABS 등): 열을 가하면 녹아서 밀랍처럼 되고 냉각하면 다시 본래의 형태로 돌아오는 가열, 냉각에 의해 용융, 고화가 가역적으로 되는 것을 말한다. 대개 직쇄상의 고분자들로 열을 가하면 각 분자의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활발해져서 녹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물질은 적당한 용제(solvent)를 가하면 분자가 서로 풀리게 되어 녹아버린다.
1.3.1.1.2. 열경화성 수지 (페놀, 멜라민, 에폭시수지 등): 열경화성 수지는 예를 들면, 계란처럼 한번 열에 의해 경화되면 다시 가열하여도 용융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열경화성 수지는 대개 열에 의해 분자들 간에 화학반응이 일어나서 3차원의 망상구조를 이루어 경화되기 때문에 분자들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아 다시 열을 가해도 용융하지 않는다.
1.3.2.2. 플라스틱의 장점
- 가공성: 가공이 용이하다.
- 착색성, 투명성: 자유로운 착색이 가능하고 투명성이 좋다.
- 경량성: 가볍고 튼튼하다.
- 전기절연성: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 내수성: 흡수성이 없다.
- 단열성: 열이 잘 통하지 않는다.
1.3.2.3. 플라스틱의 단점
- 내열성: 열에 약하다.
- 변형성: 경화되어 변형이 생기기 쉽다.
- 오염성: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쉽고 오염되기 쉽다.
- 내충격성: 강도가 금속에 비해 약하다.
- 투과성: 가스나 수증기 등의 투과성이 있으며 용제에 약하다.
1.3.2.4. 플라스틱의 가공방법
- 사출성형: 스크류를 이용하여 이송, 금형 내에서 채워서 냉각하는 방식
- 압출성형: 프레스로 압축하여 성형하는 방식(열경화성 수지에 이용)
- 사출/압력성형: 사출과 압력성형의 장점을 활용한 성형방법
- 압출성형: 압출성형기(extruder)로 밀어내는 성형법(pipe 제조 등에 이용)
- 팽창성형: 농업용 필름, 비닐 팩 등 제조
- 카렌더(calendar)가공: 얇은 시트 제조 시 사용
- 중공(blow)성형: 병 형태의 제조에 이용하며, injection blow와 extrusion blow의 두가지 형태가 있다.
1.3.2.5 플라스틱 수지의 종류 및 특징
1) PE (Poly-Ethylene): 에틸렌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유백색의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열가소성 수지로 비중은 1보다 작다. 분자량에 따라 크게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과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로 나누어진다. 흡습성이 거의 없고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성형성이 우수한 반면, 인쇄 및 접착성은 나쁘다. 화장수, 로션, 샴푸, 린스 용기나 튜브 용기에 주로 사용된다.
2) PP (Poly-Propylene): 프로필렌을 공중합 시켜 얻어지는 수지로 반투명으로 광택이 좋고 내약품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반면 인쇄성이 나쁘다. 주로 원터치 캡이나 크림류의 넓은 입구 용기, 각종 캡류에 사용된다.
3) PS (Poly-Styrene): 딱딱하고 투명하며 광택이 있다. 성형 가공성이 매우 좋고 치수 안정성도 좋은 반면 내약품성이 나쁘다. 콤팩트나 스틱 용기에 주로 사용된다.
4) SAN, AS 수지(Poly-Acrylonirilestyrene): 투명성, 강도가 높고 PS보다 내열성, 내약품성, 내후성이 우수한 반면 성형성은 약간 약하다. 크림, 콤팩트, 스틱류 및 각종 캡류에 많이 이용된다.
5) ABS (Poly-Acrylonitrilebutadienestylene): AS 수지의 내충격성을 한층 강화시킨 수지로 콤팩트 등 특히 내충격성을 필요로 하는 용기에 사용된다. 내약품성이 나빠서 향료나 알코올에는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6) PVC (Poly-vinyl-Chloride): 투명하며 성형 가공성이 좋은 반면, 가소제를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환경오염이나 환경호르몬 등의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사용이 기피되는 수지이다.
7)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딱딱하고 유리에 가까운 투명성과 광택성이 좋고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화장수, 로션, 샴푸, 린스 등의 용기에 주로 사용된다.
8) PC (Poly-Carbonate): 내충격성, 내후성, 치수안전성이 우수한 반면, 변형 시 균열(Crack)이 가기 쉽다.
9) 기타: 나일론(Nylon), EVOH(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POM(Poly-Oxymethylene, Poly-acetal)등의 수지가 내약품성, 내충격성 등을 높일 목적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다.
1.3.3. 금속
금속은 튜브, 뚜껑, 에어로졸 용기, 립스틱 케이스 등에 사용된다. 종류는 철, 스테인레스강, 놋쇠, 알루미늄, 주석 등이다. 가공방법은 프레스, 절단, 휨의 방법에 의한 것과 캐스팅이나 임팩트, 전주 등의 방법이 있다. 표면가공의 방법은 도금, 도장, 인쇄, 다이아몬드 커브 등이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의 경우는 양극산화(알루마이트)처리에 의해 착색을 하는 것이 많다.
금속의 주요특징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 얇아도 충분한 강도가 있으며 충격에 대해 강하고, 가스등을 투과시키지 않는다. 또한 도금, 도장 등의 표면가공이 쉽다. 금속의 주요결점은 녹에 대해 주의를 해야 하며 불투명하고 무거우며 가격이 높고 재활용이 어렵다.
1.3.4. 종이
종이는 주로 포장상자, 완충재, 종이드럼, 포장지, 라벨 등에 이용된다. 종이에는 통상의 접는 상자 외에 풀로 붙이는 상자, 선물세트 등의 상자가 있다. 포장지나 라벨에는 종이를 소재로 필름을 부치는 코팅을 하며 광택을 증가시키는 것도 있다. 인쇄의 방법은, 요판, 그라비아, 오프셋 스크린 인쇄 외에 hot stamp, jet print, 에폭시 가공 등의 수법이 있고 이들의 특징을 살려 이용할 수 있다.
1.4 용기-포장재의 품질보증
제작된 용기가 설계 품질에 적합한 물성, 성능, 기능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품화의 각 단계에서 충분한 시험을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용기의 최종형태, 기구, 소재, 가공방법, 사용방법, 사용장소, 유통경로 등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품질확인과 그에 맞는 테스트를 해야 한다.
1.4.1. 재료시험법
재료시험법으로는 온도, 습도, 온수, 열충격성, 내내용물성, 내알코올성, 내수성, 내염성, 내오염성, 내세제성, 스트레스균열, 내압성, 내낙하성, 내구성, 내마모성, 운송시험 등이 있다.
- 품질확인: 내용물의 안정성, 약제의 안정성, 변취, 변색, 변형성. 중량감소 등
- 소재 적정성의 확인: 부식, 변취, 변퇴색, 포화, 용출, 균열, 안정성 등
- 기능의 확인: 개폐용이성, 결합부분 강도, 표면장식의 박리, 긁힘, 기밀성, 경시에 따는 중량 변화
- 기본 사양의 확인: 용기외관, 용법, 용량 등
1.4.2. 테스트에 있어 유의점
- 기존의 유사한 제품을 참고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특히 새로운 형태의 용기는 사용방법, 사용장소 등 모든 것을 고려하여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용기 단독에 한하지 말고 반드시 내용물과 함께 제품 전체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 용기의 사용성이나 휴대성은 고객의 관점의 대상으로 충분히 검토한다.
- 기존의 테스트에 국한하지 말고 해당제품의 사용조건을 고려하여 각 제품의 특성에 맞는 시험항목을 설정하고 가혹시험, 가속시험을 통하여 적절히 선정하여 시험기간을 단축한다.
1.5.화장품용기의 개발동향
화장품의 포장에 관한 법적 규제는 약사법에 의한 표시규제, 소방법의 고압가스 단속법, 화장품의 적정포장규제, 의장등록 등이 있다.
1.2.1. 소재 가공 방법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라 화장품 용기에 이용되는 소재 및 가공방법도 다양화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 화장품에서는 내용물 보호성 및 투명성이 양호하여 유리용기가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PET용기가 개발됨에 따라 유리를 대체할 수 있게 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새로운 소재, 가공방법의 개발로 지금까지 불가능했던 새로운 용기 형태 및 사용성을 지닌 용기를 개발해 나가야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수지의 혼합사용을 통하여 각각의 장점을 살린 물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복합 소재의 개발도 필요하다.
1.2.2. 환경보전에의 대응
세계 각국에서 지구 환경보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도 이러한 자원보전 및 환경보전의 노력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현재도 재생(recycling)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을 늘리고 재생용지를 사용한다든지 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나, 리필(refill) 용기 등의 적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쓰레기 감량화에 동참하고, 환경호르몬 의심물질을 가소제로 사용하지 않는다든지, 연소 시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용기를 적극 개발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생분해성 수지의 개발 적용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용기의 회수 재활용 기술의 진보도 예상되는데, 이러한 환경보전을 충분히 고려한 용기 설계가 필요하다.
2. 품질관리
2.1 화장품의 품질 특성
품질(quality)이란, 일반적으로 그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소비자)의 만족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기업의 경우 품질을 고려하여 기획 설계의 품질, 제조상의 품질, 판매상의 품질로 나눌 수 있고, 어떤 조건에도 품질특성을 만족하고 있는 것이 필요조건이며, 그 외에 경제성이나 시장에 있어서의 타이밍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화장품에서 품질특성이란 화장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소홀히 해서는 안될 중요한 특성을 말하며 안정성, 안전성, 유용성, 사용성(사용감 사용편리성) 등을 들 수 있고, 사용성 중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되는 향기, 색, 디자인 등의 기호성(감각성)도 포함된다.
화장품과 제조물책임(PL, Product liability) 중점 Check point
1) 개발단계
- 개발단계에서는 표적이 되는 제품의 안정성에 대하여 체크한다. 업계전체 및 자사와 경쟁관계에 있는 제품의 수준, 소비자의 요구, 관련법규, 동향들을 체크한다.
- 제품 사용자와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상 예견되는 문제점을 체크한다.
- 문제점이 예측되는 것에 대해 그 사실 내용을 사용자에게 명확히 알리도록 한다. (주의표시, 사용설명서 등)
- 설계검사 및 각종시험의 실시와 더불어 이들 자료를 정리, 보관 활용한다.
2) 구매단계
- 양질의 원료 및 부자재가 공급될 수 있도록 우량업체를 선정한다.
- 지속적인 품질유지 및 향상을 위해 기술지도 및 관리점검을 강화한다.
3) 제조단계
- 아무리 좋은 설계, 좋은 원료 및 부자재, 우수설비로 생산하더라도 작업자들의 높은 품질 수준이 없이는 좋은 제품을 생산할 수 없다.
4) QA단계
- 제조과정 중 품질관리를 충분히 행하고 고도의 품질보증체계를 확립한다.
- 재발방지가 아닌 불량발생의 예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특히 제품의 안전성 내지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각종 표준 및 절차의 준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확인한다.
5) 유통단계
- 제품의 기능, 품질, 사용법 등을 정확히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공지한다.
- 과대선전이나 절대 안전, 안전보증 등의 문구 사용을 가급적 피한다.
1. 플라스틱 성형의 종류와 특성
1.1. 사출 성형 (Injection Molding)
1.2.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Extrusion Blow Molding)
1.3. 사출 블로우 성형 (Injection Blow Molding)
1.4. 재가열 연신 블로우 성형 (Re-heat Stretch Blow Molding)
1.5.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1. 금형 (Mold)
금형 개발 비용은 캐비티, 재질 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위의 표는 비교를 위한 근사치로 표현되었다.
2.1. 사출 성형 (Injection Molding)의 금형
2.2.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Extrusion Blow Molding)의 금형
금형비 저렴하다. + 사진
2.3. 사출 블로우 성형 (Injection Blow Molding)의 금형
2.4. 재가열 연신 블로우 성형 (Re-heat Stretch Blow Molding)의 금형
2.5.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의 금형
2.6. 범용금형과 커스텀금형
2.7. 다이렉트 블로우 금형(EBM)과 사출 연신 블로우 금형(ISBM)
3. 원료 (Resin)
3.1. 플라스틱 원료의 이해
플라스틱(Plastics)은 크게 열경화성(Thermosets)과 열가소성(Thermoplastics)으로 나누어진다. 열경화성은 열을 가하고 식으면 딱딱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열가소성은 열을 가하면 말랑해져 성형이나 가공을 할 수 있는 플라스틱이다. 대부분의 패키징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열가소성이기 때문에 열경화성 플라스틱에 대해서는 이 책에서 자세하게 다루지 않는다.
l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예) 페놀,아미노,폴리에스테르,멜라민,에폭시
3.2. 7가지 주요원료 및 플라스틱표기 방법
3.5. 용기용 플라스틱 재료의 물성비교
3.3. 블로우몰디엥서으 PET와 PETG
3.4. 무광
원료의 재질감은 투명하게 되는 원료, 원재료 상태가 뿌연 백색의 재료로 크게 2가지로 나누어본다면
Injection molding의 PP – 금형부식으로 무광효과
사출공정의 ABS나 SAN, 블로우의 PETG와 PET 같은 투명한 소재들은 금형의 부식이나 금형의 변화로 무광의 느낌을 만들어 낼수 없다.
3.5. 친환경 플라스틱과 재활용 (Eco-Friendly & Recycling)
- BPA-Free - PVC, PS & Polycarbonate 등의 원료들은 화학학적인 비스페놀A (Bisphenol-A (BPA))를 통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화학적 반응을 제거한 원료들을 BPA-Free 원료라고 한다. 예로는 물병으로 흔희 볼수 있는 마이보틀의 재질인 EASTMAN의 Tritan이나 SK Chemical의 에코젠이 대표적인 예이다.
- 바이오플라스틱
- WPC (Wood Plastic Comsite)
쉽게 말해 목분과 수지를 결합한 수지이다. 간벌목 및 원목제재시에 나오는 톱밥, 대패밥 등의 부산물들을 재활용하여 고분자 수지와 특수 혼련공법을 통해 결합하여 만든 친환경 신소재 입니다. 도일 WPC는 FSC 인증 받은 목분만을 사용하고, 100% 재활용 가능하며 인체 무해한 물질이 전혀 없습니다. 또한 압출,사출,블로우 몰딩 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목분 함량은 적용제품에 따라 20%에서 최대 80% 까지 가능 합니다.
- PLA (Poly Lactic Acid)
옥수수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입니다. 뜨거운 음식을 담거나, 아기가 입으로 물거나 빨아도 환경호르몬은 물론,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합니다. 사용 중에는 일반 플라스틱과 동등한 특징을 가지지만 폐기 시 미생물에 의해 100% 생분해되는 재질입니다.
4. 컬러링 (Coloring)
4.1. 순안료의 이해
지당 / 이산화티타늄 / 티타늄디옥사이드 ( Titanium Dioxide )
DuPont™ Ti-Pure® R-103
지당은 백색분말로써 냄새와 맛이 없다. 화학식은 TiO2이다. 물, 염산, 묽은 황산, 알코올 및 다른 유기용매에도 녹지 않으며 뜨거운 진한 황산 이외의 산에는 녹지 않는다. 이산화티타늄은 캐나다, 덴마크,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등 많은 나라에서 사용이 인정되고 있는 비타르계 색소이다. 1969년 제13회 FAO•WHO 합동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에서 이산화티타늄의 ADI설정은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하였다. 과거 분말청량음료에 다른 식용색소와 혼합하여 조유의 식품색을 부드럽게 하거나 당의식품피복원료인 설탕시럽에 혼합하여 제품색상을 선명하게 만들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은폐력이 크며 열에 안정하므로 빛이나 자외선에 의한 영양소 파괴 또는 변색, 퇴색이 우려되는 청량음료에 일부 사용하였다.
* 배합 한도 ; 25%
* 배합 목적 ; 착색제, 불투명화제, 물리적 자외선차단제
- 피부톤 보정에 도움
-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로서 햇빛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예방 및 보호
* 원료 특징
- 광물성 무기사화물 성분
- 이산화티타늄이라고도 불리움 (이산화티탄)
- 금홍석, 예추석, 판티탄석에서 얻어지는 광물성 성분
- 백색 파우더의 성상을 띔
- 캐나다, 독일, 영국, 프랑스, 덴마크, 미국 등의 나라에서 사용이 인정되는 비타르계 색소
- 인체에 무해한 안전 물질
- UVA, UVB 차단하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
- 같은 산란제로 알려진 징크옥사이드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률을 지님
Dry Color | 안료 | 가루형태 | 1kg |
Master-Batch | 마스터배치 | 알갱이형태 | 50kg |
4.2. 안료 (Dry Color)
4.3. 마스터배치 (Master-Batch)
안료등 다루기 어려운 가루나 분체,
원료 고무에 배합제를 혼합하는 공정에서 배합제를 미리 처방보다 높은 농도로 섞어 반죽한 것으로 고무에 혼입하여 각 배합제의 계량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원료 고무에 배합제를 혼합하는 공정에서 배합제를 미리 처방보다 높은 농도로 섞어 반죽한 것으로 고무에 혼입하여 각 배합제의 계량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분산을 좋게 하며, 작업 중의 흩날림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스틱의 성형가공 시, 안료(顔料)의 분산을 좋게 하는데 사용된다.
고무에 혼입시킴으로써 각 배합제의 계량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분산을 좋게 하고 작업 중의 흩날림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스틱의 성형가공 때, 안료(顔料)의 분산을 좋게 하기 위해서도 이 방법이 사용된다.
분산을 좋게 하며, 작업 중의 흩날림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스틱의 성형가공 시, 안료(顔料)의 분산을 좋게 하는데 사용된다.
고무에 혼입시킴으로써 각 배합제의 계량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분산을 좋게 하고 작업 중의 흩날림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스틱의 성형가공 때, 안료(顔料)의 분산을 좋게 하기 위해서도 이 방법이 사용된다.
4.4. 퍼징 (Purging)
4.5. UV 차단제
4.6. 용출
5.1. 인쇄/분/박 (실크스크린)
* 인쇄(실크스크린) –필름의 일러스트 아트웍 데이터를 필름으로 현상하여 미세한 구멍으로 잉크를 제품의 표면에 묻히고 UV를 건조를 하는 후가공 방법
PE나 PP 제품 같은 경우 잉크를 묻히는 공정전에 열처리작업
*박(금박/은박) – 러버나 실리콘으로 된 조각을 제작해서 박지에 열을 가해 제품에 표면에 찍어내는 후가공법
* 분(금분/은분) – 실크스크린과 비슷한 작업으로 잉크 대신, 필름의 미세한 구멍으로 분(가루)으로 표면에 묻히고 UV를 건조를 하는 후가공 방법
5.2. 라벨링
* 일반 라벨링 – 라벨을 제작하여 제품의 표면에 부착
* 수축필름 – 라벨로 용기를 감싸 수증기나 고온을 가해 수축하여 압축하는 방식
5.3. 표면처리
* 코팅-금속, 목재, 플라스틱 표면에 도료를 도포하거나 박막 혹은 세라믹을 덮어 씌우는 작업이다. 코팅은 내측코팅과 외측코팅으로 나눌 수 있고, 보통 색이 없는 무광코팅이나 유광코팅(클리어코팅), 그리고 컬러도료를 이용해서 작업하는 컬러코팅, 기법에 따라서 그라데이션이나 홀로그램 코팅등이 있다.
* 증착- 진공 중에 있어서 은, 알루미늄, 금 등의 금속 혹은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아연 등의 금속 화합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만들어 다른 물체에 부착시키는 작업이다
- 코팅이나 증착 같은 표면처리하는 후가공은 제품의 외부에 기름이나 이물질 등이 주로 부적합의 원인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헥산 마사지 같은 작업을 한다.
헥산(Hexane)- C6H14- 헥산은 석유 냄새가 나는 투명한 무색 액체이다. 인화점은 -9°F이며 물보다 밀도가 낮다. 물에 불용성이며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용제, 도료 희석제, 화학 반응 매질로 사용된다.
5.4. 기타 후가공
*전사-먼저 디자인된 내용을 지지물에 인쇄하고 그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물 표면에 눌러 붙여 그림을 전사하는 것을 말한다. 인쇄로 하면 도수가 높아서 핀을 맞추기 어려운 작업을 한번에 할 수 있어서 불량률이 적지만 수량이 많아야지 전사지를 인쇄하고 작업이 가능해서 프리몰드에서 쓰이기 보다는 아동용 물병이나 대량에 적합하다.
5.5. 용어 및 절차
* 감리 (Audit) - 감리란 감독하고 관리하는 것을 뜻한다. 보통 후가공시 디자인시안과 동일하게 작업이 되는지를 현장에 디자이너가 참석해 작업의 표준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 박리 (Flaking/Peeling) - 제품표면에 작업된 후가공이 벗겨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 칼선 (Printing Area)– 칼선은 말그대로 잘리는 선이다. 용기의 인쇄 허용가능범위를 말한다. 대부분의 블로우용기의 금형은 앞판과 뒷판으로 이루어져 용기 옆면을 가로지르는 팟팅 라인이라는 부분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팟팅라인에는 인쇄가 들어갈 수 없다. 금형이 마모되면서 팟팅 라인에 잉크가 묻게되면 울거나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굴곡진 곡면 같은 면에도 후가공의 제한이 따른다. 다시 말해 굴곡진 부분과 팟팅라인을 제외한 부분이 인쇄 영역이다. 하나의 아트웍을 위해서 앞면의 데이터 후면의 데이터가 같이 제공되어야 한다.
*표준견본 – 발주를 받은 제품의 디자인까지 완료승인 제품에 담당자의 서명이나 스티커를 붙여 수주자가 납품 시 품질확인을 위한 견본제품이다.
*한도견본 – 부적합이 발생했을 때, 한시적으로 협의되어 사용을 의미하는 견본이다.
6. 네크 (Neck Size)
나사는 언뜻 보기에 별 것 아닌 것 같이 보이지만 위대한 발명품 중에 하나이다. 네크의 나사가 없었다면 수많은 제품들이 존재 자체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최초의 나사를 만든 사람은 아르키메데스이며, 현재의 나사의 형태는 그로부터 한참 후인 19세기 발전되었다.
6.1. 네크의 표준사이즈
6.2. 문제발생
남,녀 사이의 문제가 있을 때 한쪽의 문제만 일수 없듯이, 제품이 만들어지고 용기와 캡의 문제가 생겼을 때, 한쪽의 문제라고 단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확률적으로 봤을 때, 제품을 생산한 설비와 품질관리, 물류이동과 보관, 충진방법 등 고려해야할 상황이 많다.
턴키(Turn-Key)라는 개념 자체가 문제발생과 해결점을 동일한 지점에서 찾고자 하는 시도에서 시작
7. 펌프 (Pump/Dispenser)
7.1. 펌프의 구성 재질-OTHER
8. 캡 (Cap/Closure)
8.1. 캡의 종류
8.1. 캡의 종류
9. 부자재
10. 제품개발
10.1. 재질 (Resin)
10.2. 모양 (Shape)
10.3. 비중
10.4. 헤비블로우 (Heavy Blow)
헤비 블로우라는 말 그대로 무겁게 불어서 만드는 제품을 말한다. 보통 무겁고 깨지는 유리를 대용하는 투명한 원료(PET, PETG )를 블로우 성형기로 만든제품을 일컫는다. 모든 플라스틱 제품은 두껍게 혹은 얇게(가볍게) 사출할 수 있도록 개발 할수 있다.
다시말해 PET 나 PETG 처럼 투명한 블로우라고 하면 불어서 만드는 제품이기 때문에
보통 다이렉트블로우 나 인젝션스트레치블로우로 생산하는 유리를 대용하는
수출시 물류비를 중량으로 계산하는 방식/유리의 깨지는 성격과 가공 특히 컬러링의 어려움을 감안
10.5. 만주 (Over-full)
도면 설계 시 표기되는 용량은 물의 비중 ‘1’을 기준으로 한다.
도면의 제품의 경우 내용물의 양은 120ml로 사용된다. 하지만 어깨까지의 실제 Fill point는 135ml이고 만주량(Over-full)은 138ml 이다.
제품의 용량이나 볼륨을 측정하거나 고려할 때, 1) 내용물의 비중을 알아야 하고, 2) 충진 방법 (분말 같은 경우 산처럼 쌓이면서 충진 됨으로 흔들지 않고는 가득 충진 할 수 없다. 3) 어느 정도까지 충진 할 것인가 4) 과대포장(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법에 따라 내용물을 제외한 공간이 20%를 넘지 않는가 등을 고려해야 한다.
10.6 목업(Mock-up)와 3D프린팅
목업(Mockup)은 제품 디자인 평가를 위하여 만들어지는 실물 크기의 정적 모형이다
목업은 절삭가공(Subtractive manufacturing)과 적측가공(Additive manufacturing) 크게 2가지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절삭가공은 선반과 같은 절삭공구로 재료를 깎아 가공하는 방법이지만 적측가공은 3차원 물체를 만들어 내기 위해 원료를 여러 층으로 쌓거나 결합시키는, 입체(3D) 프린팅이 작동하는 방식으로 즉, 모든 입체(3D)프린터는 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원료를 층(layer)으로 겹쳐 쌓아서 3차원의 물체를 만들어 내는 것. 고체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금속 분말, 모래 등의 재료를 이용하며, 제품화 단계에서 금형을 제작하는 등 중간 과정이 전혀 필요 없고, 즉각적인 수정 작업이 가능해 제품의 개발 주기 및 비용의 효율성을 높여 준다.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은 입체(3D) 프린팅을 일컫는데, 이는 기존의 제품은 재료를 자르거나 깎아서 생산하는 절삭 가공(subtractive manufacturing)인데 반해, 입체(3D) 프린팅은 재료를 층층이 쌓아 만들기 때문이다.
10.8 상용성 테스트
적합성 테스트 CT Compatibility Test
CT에 대한 용어는 컴퓨터프로그래밍에서 어떤 기능을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지를
화장품 업계에서는 주로 부자재가 발주되기전에 OEM회사에서 용량이나 안전성(검사)를 하여, 내용물과 부자재가 서로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11. 단가와 리드타임
최소발주량 MOQ (Minimum of Quantity): 일정한 거래가 발행했을 때 적자가 나지 않는 손익분기점의 수량.
제품단가 = 원료비 + 임율(인건비) + 기타(물류,팔레트)
보통 22HR 기준
12. 부록 - 종목별 업체목록/연락처
13. Reference
Blow Molding Handbook, Hanser
현대 화장품학, 조완구, 랑문정, 배덕환 공저 한국한술정보㈜
한국플라스틱기술정보센터, 플라스틱 해설과 물성집, 한국플라스틱기술정보센터 2006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텐츠 구성 / SSD (0) | 2022.08.04 |
---|---|
프리몰드 vs 고객사몰드 (0) | 2022.08.04 |
일반적으로, PET로 캡을 생산하진 않는다. (0) | 2021.04.21 |
비중 (0) | 2021.03.24 |
(20.12.24)_환경부_플라스틱_전주기_발생_저감_및_재활용_대책_수립 (0) | 2021.01.11 |